PlayStation Vita PS 비타의 모든 것! (+스펙,가격,플레이스테이션)
안녕하세요. 오늘은 급작스럽게 떠오르고 있는 플레이스테이션사의 PS비타가 관심이 쏠리고 있는 요즘.
PS비타 라는 제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플레이스테이션 PS비타의 스펙부터 알아보겠습니다
모델명
일본 : PCH-2000, 한국 : PCH-2005
프로세서
CPU : ARM Cortex-A9 MPCore MP4 333MHz
GPU : Imagination Technologies PowerVR SGX543+ MP4 111MHz
메인 메모리 : 삼성전자 512MB 333MHz LPDDR2 SDRAM
비디오 메모리 : 삼성전자 128 MB Wide I/O DRAM
스토리지
내장 1GB 플래시 메모리, 플레이스테이션 비타 전용 메모리 카드(4 GB, 8 GB, 16 GB, 32 GB, 64 GB)
디스플레이
5인치 960 × 544 (16:9) (220 ppi) 24 bit 색상 지원 IPS TFT-LCD 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스크린
네트워크
Wi-Fi 802.11b/g/n, 블루투스 2.1+EDR
카메라
전면 30만 화소, 후면 30만 화소
배터리
내장형 Li-lon 2210 mAh
조작 버튼
PS 버튼, 전원 버튼, 방향키(상하좌우), 액션 버튼(□△ⅹ○ 버튼), L/R버튼, 좌/우스틱, START 버튼/SELECT 버튼, 음량 +/-버튼
단자
PlayStation®Vita 카트리지 슬롯(비타 전용), PlayStation®Vita 메모리 카드 슬롯(별도 슬롯으로 존재), Micro-USB 단자, 3.5mm 스테레오 잭(Stereo out, Mono in)
센서
내장 마이크, 3축 가속도계, 3축 자이로센서, 3축 전자나침반
지원 미디어 형식
소리
MP3 MPEG-1/2 Audio Layer 3, MP4 (MPEG-4 AAC), WAVE (Linear PCM)
영상
MPEG-4 Simple Profile (AAC), H.264/MPEG-4 AVC Hi/Main/Baseline Profile AAC)
이미지
JPEG (Exif 2.2.1), TIFF, BMP, GIF, PNG
규격
182.36 × 15.0 × 85.1 mm, 219 g
기타
후면 멀티터치 지원 정전식 터치패드 장착, Wi-Fi 위치 서비스 지원
SCE(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현 SIE)의 휴대용 게임기로,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의 정식 후계기입니다. 경쟁 기기는 닌텐도의 닌텐도 3DS.
2011년 1월 27일 3시(한국 시간), 플레이스테이션 미팅에서 처음 발표했으며, 6월에 E3 쇼에서 세부적인 스펙과 가격이 확정되었습니다. 첫 발표시의 코드네임은 'NGP(Next Generation Portable)', 이후에 정식 명칭인 플레이스테이션 비타(이하 PS Vita)로 확정되었습니다.
일본에 2011년 12월 17일자로 발매되었고, 한국에는 2012년 2월 11일, 미국에는 2012년 2월 22일에 발매되었습니다. 홍콩/대만에는 2011년 12월 23일, 호주에는 2012년 2월 23일에 발매되었습니다.
제품이 등장한지 7년여만인 2019년 3월 1일에 단종되었습니다. 2013년부터 소니에서 플레이스테이션 비타 판매량을 공개하고 있지 않지만, 웹진 USGamer에 의하면 2018년 9월까지 1600만대 팔렸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이를 비교했을 때 Wii U 전체 판매량보다 높고, 닌텐도 게임큐브 전체 판매량보다 낮은 수치입니다.
전체 수명 동안 가장 많이 팔린 게임은 마인크래프트로 추정하고 있으며, 247만 장 팔렸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거치기와 비교시 성능은 Wii이상 ~ Xbox 1세대정도로 Xbox 1세대보다는 약간 아래나 동급 수준의 성능입니다.
경쟁기기인 New 닌텐도 3DS가 Wii보다는 낮은 수준의 성능임을 감안해도 굉장히 강력한 성능을 발휘합니다. 다만 롬 카트리지의 용량이 3DS보다도 적은 4GB로 제한되어 개발사들이 성능을 원활히 뽑아내기 힘들었다는 함정이 있었죠.
전작인 PSP가 커스텀 펌웨어로 큰 타격을 입었는지라 보안에 상당히 신경 쓴 모습을 보여준다. CPU의 코어 4개 가운데에 하나는 보안 전용으로 동작하도록 만들었고, NAND 플래시를 배터리에 내장한 PSP와 달리 초기 모델은 배터리 교체가 어렵게 설계되었습니다.
메모리 카드 역시 독자 규격이며, 샌디스크 같은 다른 업체에서도 생산하는 메모리스틱과 달리 소니 자사에서만 생산한다. 가격도 독자가격입니다.
크기도 마이크로 SD 카드와 비슷하여 기본적으로는 메모리 스틱 DUO 같은 어댑터 제작 꼼수를 막아놓았습니다. 또한 이동식 디스크처럼 사용할 수 있는 PSP와 달리 전용 프로그램을 이용해야 PC와 연결이 되며, PSN 계정을 등록하지 않으면 PC 연결이 안 됩니다.
2011년, E3에서 3G+Wi-Fi 모델과 Wi-Fi 모델의 가격이 미국 달러로는 $299와 $249로, 엔화로는 ¥29,980과 ¥24,980으로 공개됐으며, 3G+WiFi 모델은 3G 통신 기능을 사용함에 따라 핸드폰 개통처럼 통신사와 계약을 맺고 매달 통신요금을 내야 합니다.
일본 3G 통신사는 NTT 도코모/미국 3G 통신사는 AT&T. 국내에는 Wi-Fi 버전의 가격이 368,000원[5]이라고 밝혔다. 3G+WiFi 버전은 발매되지 않았습니다.
다만 위의 본체 가격은 메모리 카드 가격이 빠진 가격입니다. 비타 1세대는 내장 메모리가 없고 기본으로 넣어주는 외장 메모리 카드도 없어 게임을 세이브 하려면 필수적으로 메모리 카드를 구매해야만 했는데, 당시 통용되던 SDHC 메모리 카드는 쓸 수 없고 소니에서 내놓은 독자 규격의 메모리 카드만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한국 발매 기준으로 가격은 각각 4GB 28,800원, 8GB 44,800원, 16GB 79,800원, 32GB 134,800원. 따라서 비타를 가장 적은 용량의 메모리 카드와 함께 산다고 했을 때에도 둘을 합친 가격이 40만원에 육박했고, 가장 큰 용량인 32GB 메모리 카드와 같이 살 경우에는 무려 50만원을 넘었습니다.
2013년 2월 28일부터 일본 가격이 3G+Wi-Fi/Wi-Fi 모델 모두 19,980엔으로 가격 인하됐습니다. 2013년, 게임스컴에서 3G+Wi-Fi 모델과 Wi-Fi 모델의 미국 가격이 인하되었습니다. 이에 맞춰서 한국 소비자 가격도 248,000원으로 인하되었습니다.
2018년 현재는 중고가가 10만원대정도. 마찬가지로 중고가가 10만원대 초중반의 New 닌텐도 3DS XL하고 비슷한 정도입니다.
지금까지 PlayStation Vita PS 비타의 스펙과 가격 그리고 플레이스테이션 비타의 여러가지 정보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다음 이시간에도 좀 더 유익한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