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포스 RTX 3080의 모든 것! (가격,벤치마크,게임성능)
RTX 3080은 $699에 RTX 2080 대비 최대 2배 성능
안녕하세요. 오늘은 그래픽카드의 최강자 즉, 지포스 RTX 3080의 소식을 전해드릴건데요.
요즘 가장 핫한 크래픽 카드입니다. 자연스레 품귀현상 및 중고거래 현황 등 여러가지 소식을 전달해드리겠습니다.
우선, 지포스 RTX 3080 스펙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지포스 RTX 3080 스펙
아키텍처 : Ampere
제조 공정 : Samsung 8 nM
CUDA 코어 : 8,704
부스트 클록 1.71GHz
셰이더 성능 : 30 TFLOPS
RT 성능 : 58 RT-TFLOPS
텐서 성능 : 238 Tensor-TFLOPS
메모리 종류 : GDDR6X 10GB
메모리 버스 : 320-bit
디스플레이 출력 규격 : 1x HDMI 2.1 3x DisplayPort 1.4a
NVLink SLI 지원여부 : X
그래픽카드 크기 285mm / 2슬롯
보조 전원 단자 : 8핀 2개(12핀 1개)
그래픽카드 전력 : TGP 320W
권장 파워서플라이 : 750W
출시일 : 2020.09.17
출시 MSRP US : $699
진짜 대단한 스펙을 보유한 그래픽 카드입니다. 전작과는 차원이 다른 스펙으로 압도하고 있는데요, NVIDIA의 RTX 3080의 한국 출시가 예정되어 있던 2020년 9월 17일, ASUS의 한국 수입사인 인텍앤컴퍼니에서 NVIDIA의 그래픽카드 RTX 3080을 도소매업자들에게 넘기지 않고 쿠팡에 넘겨버리면서 대한민국 PC 업계에는 비상이 떨어진적이 있었죠.
실제로 대란이라고 할 만큼 다수의 구매자가 몰렸지만, 일반적인 대란과는 달리 소비자와 제조사, 수입자 모두 이득을 보았고, 반대로 용산 프리미엄을 비롯한 비정상적인 유통 구조에 업하시는 분들은 많이 씁쓸했을 겁니다.
그도 그럴것이 기존의 유통 구조에서는 신제품이 발매되면, 다수의 물량이 용산 전자상가를 통해서 유통되면서부터. 여러 단계를 거치며 유통 마진을 붙인 권장 가격, 말 그대로 유통 사업자들의 몫까지 포함되어 있던 가격에, 수십 만원 상당의 부당 이득을 챙기며 오랫동안 부당이득(?)을 취한 구조였습니다.
그런데 이번 지포스 RTX 3080부터는 수입사에서 유통을 매우 단순화된 구조로 변경하면서, 일반 소비자는 보다 합리적인 가격으로 물건을 구매할 수 있게 되었고 그렇게 용산에 계신 분들은 많은 손해아닌 손해를 보게되었습니다.
2020년 9월, 처음 GeForce 30 시리즈가 발표되었고, 3080의 가격은 $699로 이전 세대인 RTX 20시리즈의 RTX 2080 SUPER와 동급, 3070은 $499로 2070과 동결되면서도 성능은 크게 향상된 모습을 선보이며 호의적인 반응을 이끌어냈습니다.
하지만, 이 호의적인 반응은 이제까지 수십 년 동안 컴퓨터 부품이 출시될 때마다 국내 시장을 독점하며 권장소비자 가격보다 한참 비싼 가격을 받아갔던 용팔이들로 인해 가격이 상승될 것으로 점쳐지면서 분노로 바뀌었습니다.
가성비 좋게 나온 건 좋은데, 국내에서 판매될 때 붙을 용산 프리미엄은 어쩌나? 하는 유저분들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유통구조가 새롭게 바뀌면서 유저들로 하여금 이득아닌 이득을 보게 되었습니다.
이엠텍사는 RTX 3080 블랙에디션의 초도 물량을 소량 확보하여 자체몰 및 다나와 100만 원 미만으로 공급하기 시작했다.GIGABYTE 또한 하이마트, 인터파크, 위메프 등으로 물량을 넘겨 용산 프리미엄 없는 90만 원대의 가격으로 판매하기 시작했다.
지포스 RTX 3080의 스펙상 RTX 3090과 엄청난 격차가 아님에도, MSRP는 절반이 채 되지 않습니다. VRAM에서 큰 차이가 있긴 하나 RTX 3080이 제공하는 10GB VRAM으로도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VRAM 병목 현상(bottleneck)을 염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이론적인 스펙 차이를 들여다보면 RTX 3090과 성능 차이는 커봤자 20% 수준에 머물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포스 RTX 3080의 GPU 코드명은 GA102-200-KD-A1, 중간에 백 단위 숫자가 200입니다. 일반적으로 풀칩 GPU는 400, 풀칩에서 1단계 규모로 커팅 된 칩이 300, 2단계 규모로 커팅된 칩이 200 숫자를 가지게 되는데요.
해당 법칙에 따라 RTX 3080과 동일한 GA102를 탑재하고 더 많은 유닛 가진 RTX 3090은 GA102-300 코드명을 갖게 될 것입니다.
많은 컴퓨터덕후 유저분들이라면 컷칩이 아쉽게 느껴질 수 있으나, 엔비디아는 과거에 비해 풀칩 GPU를 '지포스' 그래픽카드로 내놓는 것에 굉장히 인색한 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 사실상 2013년 GTX 780 Ti 이후 명맥이 끊어졌기 때문입니다.
RTX 3080의 CUDA 코어는 유닛을 운용하는 방식과 정의를 바꿨기 때문에 8,704개로 전 세대에 비해 크게 늘었습니다. RT 코어는 RTX 2080 Ti와 동일하지만 알고리즘이 향상되어 더욱 개선된 성능을 기대할 수 있겠습니다.
인상적인부분은 3D 게임 모니터 출력(렌더링 프로세스) 과정에서 마지막을 담당하는 ROPs가 RTX 2080 Ti의 88개보다 많은 96개를 갖춰 매우 긍정적인 의견이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고해상도 게이밍 성능에서 큰 힘이 되어줍니다.
파스 대비 점수 차이가 꾀나 커졌습니다. 파스 대비 GPU 연산량이 높아 그래픽카드 본연의 성능 편차를 더 잘 드러낼 수 있고, API가 달라져 아키텍처에 따른 성능 효율이 달라지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단정할 수 없는것은 3DMark는 수많은 3D 프로그램 중 하나에 불과하기 때문에, 모든 DX12 게임 성능을 대변할 수는 없습니다.
확실히 전작들 보다는 가격대비 좋은 성능을 신제품으로 내놓으면서, 컴퓨터덕후 유저들의 호의적인 반응을 이끌어 내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좀 더 경쟁이 붙어, 좋은 제품을 합리적인 가격으로 즐겼으면 좋겠습니다.
지금까지 지포스 RTX 3080의 (가격과 벤치마크 그리고 게임성능은 어떤지 알아봤습니다.
다음 이시간에도 좀 더 유익한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